컨텐츠상세보기

양궁 K스포츠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
양궁 K스포츠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
  • 저자체육인재육성재단 체육과학연구원 저
  • 출판사산책길
  • 출판일2023-01-03
  • 등록일2023-09-12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2, 누적예약 0

책소개

인류는 생존을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개발하여 이용하면서 생존과 번영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달해 온 것 중에 하나가 활과 화살이라 할 수 있다. 실제 활과 화살은 원시사회에서는 생존의 수단으로, 고대와 중세에 있어서는 뛰어난 전쟁무기로, 그리고 근대에 거쳐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류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류 문화에 이바지 하여온 유구한 역사적 산물이라 하겠다.
이러한 활과 화살이 어떻게 해서 발명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선사시대의 원시사회에서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생활도구, 특히 사냥도구로 만들어 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활과 화살의 기원은 그 유래가 유구하나 그 기원이 언제부터 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원시인들이 활과 화살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고고학자들이 견해를 같이하고 있고 문명의 기원에 의하면 인류가 투창이나 활을 사용한 것은 구석기시대 말엽인 1~3만전 전일 것이라 하지만 일부 고고학자들은 약 10만 년 전부터 활을 사용해 왔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고고학적으로 탄력을 응용한 활과 화살의 흔적은 구석기시대 말기에 나타난다. 즉 후기 구석기시대 유럽의 남러시아, 스페인, 북아프리카에서 화살촉으로 보이는 것이 발견되어 활이 후기 구석기 시대에 사용되었다는 것이 증명되고 대명백과 사전은 프랑스 남부의 스페인 카스테론주 산악지역에 동굴벽화에서 활의 사용을 추정하고 있으며 최근의 기네스북에는 스페인의 중석기 동굴벽화에서 활과 화살이 존재하였음을 증명하고 있어 후기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에 이르는 사이에 인류의 생활도구로 사용되었음이 분명하다.

목차

Ⅰ. 양궁의 개요
1. 양궁의 기원
2. 신화 속 활쏘기
3. 아시아에서의 발전
4. 세계양궁의 역사
5. 한국양궁의 역사
6. 양궁경기 방식의 변천
7. 양궁경기의 종류

Ⅱ. 양궁 경기를 위한 스포츠 과학적 기초
1. 양궁 경기력 결정요인
2. 스포츠심리학적 측면
3. 운동역학적 측면
4. 운동생리학적 측면

Ⅲ. 장비
1. 활
2. 화살
3. 현(String)
4. 스타비라이저(Stabilizer)
5. 구숀 프란쟈(Cushion Plunger)
6. 크리커(Clicker)
7. 에로우 레스트(Arrow Rest)
8. 조준기(Sight)
9. 기타장비

Ⅳ. 기술 및 지도법
1. 스탠스(Stance)
2. 세트(Set)
3. 셋업(Set - up)
4. 드로잉(Drawing)
5. 풀 드로우(Full draw)
6.릴리즈(Release)
7. 풀로 스로우(Follow Through)

Ⅴ. 체력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1. 근력 훈련
2. 파워 훈련
3. 근 지구력
4. 유연성 훈련

Ⅵ. 심리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1. 심상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2. 자신감 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3. 각성수준조절 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4. 생각조절 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5. 프리슈팅 루틴 훈련 프로그램 및 지도법

Ⅶ. 훈련프로그램 구성 및 지도안 작성
1. 시즌기의 훈련목표 및 훈련요소
2. 시즌기 훈련방안
3. 훈련계획 작성
4. 주간훈련 계획
5. 월간훈련 계획
6. 연간훈련 계획

한줄 서평